정신분열증을 치료하는 방법으로는 약물치료가있고 정신사회적 치료로 나뉩니다.
약물치료를 먼저 설명드리자면, 항정신병 약물이있습니다.
약물치료
1. 항정신병 약물
1) 도파민 수용체 길항제
도파민 수용체 길항제 등은 정신분열증 양성증상을 치료하는데 효과적인것으로 나타났지만, 음성증상에서는 효과적이지 않으며, 오히려 인지기능을 저하시키는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그리고 부작용 증상이 많아서 약물순응도가 낮은 이유로 인해서 근래에는 정신분열증의 일차 선택약보다는 이차선택약 혹은 보조치료제로 사용되고있습니다.
2) 세로토닌 - 도파민 길항제
비정형 항정신병 약물이라고 부릅니다. 도파민 수용체의 여러 아형과 상호작용, 세로토닌과 글루타메이트 수용체에 영향을 미칩니다. 도파민 수용체나 길항테보다 약물 순응도가 높으며, 정신분열증의 음ㅅ멍증상 및 인지증상의 치료에도 효과적이어서 정신분열증 치료의 일차 선택 약물로 쓰이고 있습니다. 현재로써는 risperidone, clozapine, sertindole, ziprasidone, quetiapine 등의 약물이 사용되고있습니다.
2. 약물치료의 단계와 원칙
항정신병 약물은 정신분열증 치료에 있어 실질적으로 중요한 가치를 지닙니다. 그리고 정신분열증의 증상을 경감시키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있죠. 항정신병 약물을 투여하면 대체로는 망상, 환각 등 양성증상이 매우 호전되고, 정서적 둔마, 의욕저하, 철수 등의 음성증상은 서서히 오랜 시간을 통해서 호전됩니다.
정신사회적치료
정신사회적 치료는 정신분열증 환자의 대처능력을 향상시키고, 독립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사회기술을 증진시키며, 병으로 인한 위기상황 속에서 지지를 제공하는 것뿐만이 아닌, 기능적인 어려움을 최소화로 적응을 돕고 재발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을 목표로합니다.
1. 개인 정신치료
현실적이고 실용적인 지지요법이 많이 사용됩니다. 개인적인 정신치료는 주로 환자가 현실검증, 새로운 대치전략, 문제해결, 스트레스와 재발에 관련하 문제인식 등을 배우도록합니다.
2. 집단치료
대부분 환자가 대인관계에서 문제점을 발견하고 개선하면서 실생활에 대한 계획을 세우는데 있어서 효과적입니다.
3. 가족치료
환자가 입원치료 둥일 때뿐만이 아닌 퇴원 후와 통원치료 중에도 가족과 그 밖의 중요한 사람들이 환자의 치료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것은 중요합니다. 가족치료는 가정에서 스트레스나 갈등을 완화하거나 예장하면서 재발의 가능성을 줄이는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4. 정신건강교육
환자의 가족뿐만이 아닌 환자 자신에게도 정신분열증에 관해서 교육합니다. 주로는 정신분열증의 치료 형태를 설명하며 환자와 가족 모두에게 좋은 수용적인 태도를 갖도록 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5. 행동치료
행동치료는 환자가 병적이고 괴이한 행동 등을 줄이고, 대화를 촉진하며, 잘 적응된 적절한 사회적 행동을 증가시키는 것에 목적이있습니다. 대표적으로 나타나는 치료기술로는 사회기술 훈련과 환표이용법 등이있답니다.
'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반사회성 성격장애를 알아보자! (0) | 2020.02.20 |
---|---|
특정공포증은 어떤게 있을까?? (0) | 2020.02.14 |
교육청 학원강사 등록하기 위한 학점은행제 학위 취득방법 (0) | 2019.12.13 |
영화 명대사 모음1 (0) | 2019.11.18 |
왓챠플레이 미드, 영드 추천 (0) | 2019.10.28 |